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연구방법론15

대상자 동질성 분석(SPSS) 대상자는 110명남성 59명여성 51명 이때 남성의 나이 평균과 여성의 나이 평균을 구하고 나이에서 남여 그룹의 동질성 차이가 있는지 보려고 한다. SPSS에서분석 → 평균비교 → 독립표본T검정① 검정변수에 '나이'② 집단변수에 '성별' → 집단정의③ 확인  남성의 나이 평균은 24.95세 ± 4.63여성의 나이 평균은 23.51세 ± 3.30 그런데 Levene의 등분산 검정을 보면 유의확률이 0.027 즉 0.05보다 낮은 값으로 등분산을 가정하지 않는다. ◈ 유의 수준이 0.05 미만이면 차이가 없는데 차이가 있다고 할 가능성이 매우 낮으므로 차이가 있다고 본다. 쉽게 말해서 유의 확률이 0.05 미만이면 두 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보는데, '차이가 있다'는 인식을 이용해서 등분산에서 유의.. 2025. 3. 27.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피어슨 상관계수, 스피어맨 상관계수, 회귀분석 - 산포도에 찍힌 점들을 지나는 최적의 선이 그어질 경우 선형관계가 있다고 한다.- 이 직선에 가까운 정도를 피어슨적률 상관계수(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로 계산한다.- 피어슨 상관계수는 간단히 상관계수라 부른다.- 모집단에서의 상관계수를 로(roh, ρ)라고 하고 표본에서의 상관계수는 r이라고 한다. 피어슨 상관계수의 특징(1) -1부터 +1 사이의 값을 갖는다.(2) 상관계수 앞에 있는 부호 +는 한 변수가 증가할 때 나머지 한 변수도 같이 증가함을 나타낸다. -는 한 변수가 증가할 때 나머지 변수는 감소함을 나타낸다.(3) 상관계수의 크기는 산포도에서 최적의 직선에 얼마나 밀접한 지 그 정도를 나타낸다.    - r=+1 또는 r=-1은 산.. 2024. 7. 1.
다중비교(multiple comparison)와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ANOVA) 분산 분석을 통해 처리간의 효과 차이가 유의미하게 인정되면 어느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비교, 사후비교 혹은 다중비교를 시행하여야 한다. 다중 비교 방법에는 최소 유의차 검정, 투키(Tukey) 검정, 쉐페(Sheffe) 검정, 피셔(Fisher) 검정 등이 있다.  분산분석에서 F검정 값이 유의미 하지 않았다면 그 자료에 대한 분석은 여기서 끝난다.하지만 F검정 값이 유의미 하다면 어느 평균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발견하기 위하여 사후분석을 함으로써 필요한 추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데, 개별 평균들에 대한 추후 분석과정을 사후비교(posterior comparison or post-hoc comparison)라고 한다.  * SPSS : 분석 → 평균 비교 → 일원배치 .. 2024. 6. 20.
추측통계학: t-검정(t-test)과 분산분석(ANOVA) 모수통계(Parametric) 방법 통계방법목적측정수준독립변수종속변수Independent t-test두 집단 간의 평균차이 검정명목척도등간/비척도Paired t-test두 개의 짝지워진 집단이나 한 집단에서 전후 측정된 값의 평균 차이 검정명목척도등간/비척도ANOVA(분산분석)두개 이상의 독립적인 집단끼리 평균 차이 검정명목척도등간/비척도Pearson correlation두 변수간의 상관성 검정등간/비척도등간/비척도Multiple regression analysis두 개 이상의 독립변수가 한 개의 종속변수를 예측등간/비척도등간/비척도   1. t-검정(t-test)  1) 두 모집단 평균의 차이를 비교할 경우 이용된다.  2) 독립적인 두 표본의경우 Independent t-test  3) 쌍을 이룬 두.. 2024. 6. 20.
G*power와 검정력(power)과 표본크기(Power and sample size) 1. 검정력 분석(power analysis)유의수준 α, 표본크기n, 표본분산s, 효과크기, 검정력(1- β)이 고려된다.(1종오류 α, 2종오류 β에 대해서는 이전 글 참고) G*power를 이용한 검정력 분석에서는 "post hoc: compute achieved power - given α, sample size, and effect size"를 선택하여 검정력을 알아볼 수 있다.1. independent t-test, post hoc 설정2. determine 클릭하면 3번 창이 나타남  3. 두 변수 샘플사이즈가 다르므로 첫번째 n1!=n2를 선택 ( 두 샘플 사이즈 같으면 아래 n1=n2 선택)하고 각 그룹의 평균을 입력, SDσ within each group 계산하여 입력 이때 필요한 P.. 2024. 6.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