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4

기초통계학 정리(기술통계, 추론통계, 정규성검정 etc.) 및 순서 1. 먼저 수집된 자료(Data)를 정리하여 기술통계 값을 획득한다.ex) 실험 시작전 평균과 실험 시작 후이 평균, 빈도분포 표 또는 그래프, 산포성 2. 실험을 진행한 표본의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이루는 집단이었는지 확인하기위한 정규성 검정을 시행한다.  : 정규성 검정을 통해 알게된 모집단의 정규분포 여부에 따라 모수적 방법/ 비모수적 방법 선택 3. 추정을 통해 기술통계를 통해 얻게된 통계 값을 모집단에 일반화 시킬 수 있음   : 표본의 평균 x바의 신뢰구간 4. 영가설(귀무가설), 대립가설(연구가설)의 방향성 여부 확인 5. 모수/비모수 통계방법을 이용해 얻은 통계값을 해석 2024. 6. 20.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와 정규분포 확인하는 방법 1. 정규분포 곡선(Normal distribution curve)1) 대부분의 측정값들이 평균 주위에 모여있다.2) 좌우가 대칭인 종모양3) 평균(Mean), 중위수(Median), 최빈치(Mode)는 같은 값을 가진다.4) 첨도(kurosis)와 왜도(skewness)는 0이다.5) 이론적으로 곡선은 X축과 만나지 않는다 = 점수는 0이 될 수 없다6) 정규분포 면적은 그 값이 발생할 확률을 나타내며 확률밀도를 의미, 따라서 '전체 면적 = 1'이다.7) 정규분포 곡선 아래 34.13% 멵넉은 평균 이상 혹은 이하의 1SD(표준편차) 사이에 있다고 한다.8) 따라서 전체 분포의 68.26%는 평균(mean)±1SD 안에 위치한다.9) mean ± 2SD = 95.44%10) mean ± 3SD = 9.. 2024. 6. 20.
기술통계학(빈도분포, 대푯값, 분포, 산포도) 기술통계학은 모양(shape), 중심경향치(central tendency), 일련의 자료 내에서 변이(variability within a set of data)를 기술하는데 이용된다. ◆ 모수(parameter) : 모집단(population) 특성을 기술하는 측정값◆ 표본통계량(statistic) : 표본의 특징을 나타내는 값, 표본자료로부터 계산된 수치  ex) 표본평균, 표본분산 등 1. 빈도분포 2. 분포의 모양  1) 왜도  2) 첨도 3. 대푯값  1) 평균값  2) 중위수  3) 최빈치  4) 평균, 중위수, 최빈치의 비교 4. 산포도  1) 범위  2) 백분위와 사분위  3) 분산  4) 표준편차  5) 변이계수(변동계수)  1. 빈도분포1) 도수분포(frequency distribut.. 2024. 6. 20.
기초통계학(1): 기술통계학과 추론통계학 · 자료(data) = 측정값 ·  연구가 가치를 가지려면 이러한 자료가 갖고 있는 의미를 다른 연구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제시하여야 한다. ·  통계학이란 자료를 수집, 정리, 그리고 요약하는 것과 자료의 일부만 관찰하여 그 자료의 출처가 되는 모집단의 특성에 대하여 추측하는 것을 다루는 분야이다. ·  통계학은 크게 "기술통계학(descriptive statistics)"과 "추론통계학(inferential statistics)"으로 나눌 수 있다. 기술통계학 (Descriptive statistics): 일련의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도표/표를 만들거나, descriptive statistics를 이용하여 자료를 요약해 '대푯값'이나 '산포도' 등을 구하는 분야 1) 중심경향치(central te.. 2024. 6. 20.
모집단과 표본과 표본추출기법(Sampling) 임상연구를 하는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는 연구자가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동일한 상황에 일반화시키는 것이다. 1. 모집단과 표본(Population and sampling)  특정한 연구결과가 일반화되는 큰 집단을 모집단(population)이라고 부른다.모집단은 세분화된 종류의 준거에 부합되는 대상, 사람, 사건으로 정의된 집합체이다.ex) 골관절염에 대한 여러 치료의 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면 모집단은 골관절염을 앓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 될 것이다.하지만 모집단 모두를 검사하는 것은 대부분 불가능하다. 소수의 집단을 가지고 연구하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다.    표본추출과정을 통해 연구자들은 표본(sample)이라 불리는 모집단의 하위집단을 선택하게 된다. 이런 표본은 모집단에 관한 결론을 .. 2024. 6. 20.
728x90
반응형